1. 평균해수면(mean sea level;M.S.L)=정수면
수년간에 걸친 조위 관측값의 산술평균값으로써 결정한 해면의 높이로 정밀히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 평균해수면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1년 이상의 장기간에 걸쳐 각 해안에 위치하는 조위 관측지점의 평균해수면을 우선 결정하고 그것을 다시 전국에 걸쳐 평균값으로 조정 결정해야 합니다.
우리나라의 수준 기준면은 동서 해안의 대표적인 항만의 평균해수면을 평균하여 그것을 기준면으로 채택하였습니다. 즉, 1911년 8월부터 약 3년간에 걸쳐 청진, 원산, 목포, 인천, 진남포의 각 만에 조위 관측장(검조소)을 설치하고 자기검조위에 의하여 얻은 관측값으로써 평균해수면을 계산하고, 이 5개 지점의 평균해수면을 다시 평균하여 얻은 값을 우리나라의 수준 기준면으로 결정한 바 있습니다. 또한 육지와 멀리 떨어진 제주도에는 육지와는 별도로 독립 기준면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국가 수준 기준면은 잠정적으로 인천만의 평균해수면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측량법 제5조 동시행규칙 제2조)
*검조소란 조석 관측을 하는 곳을 말하며, 검조소에는 검조기(tide gauge), 검 조주(tide staff), 기본 수준점 표 등이 갖추어져 있습니다. 기준 검조소에서는 주로 부표식 검조기를 사용하며 해안에 건조 우물을 설치하고 도수관으로 해수를 우물 안에 유도하여 연중 해수면 높이의 변화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국가 지리정보 엔에서는 인천, 부산 등 전국 29개의 검조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실시간으로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1) 수준점(Bench Mark;B.M.)=수준기표=고저기준점
기점 수준 면에서부터 표고를 정확하게 구하여 표시해 둔 점입니다. 수준측량의 기준이 되는 점이며, 영구표식, 일시 표식, 가설 표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국립지리원에서 실시하여 주요 국도를 따라 1등 수준점은 4km, 2등 수준점은 2km마다 설치되어 있으며, 폐합된 성과표 및 지도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기준이 되는 수준원점의 높이는 인하공업전문대학 교정에 설치된 26. (84년 현재 수준점의 수는 1등은 840점, 2등은 3,760점입니다.)
2) 임시수준점(Temporal Bench Mark;T.B.M)
수준측량 노선이 길 때는 측량성과의 점검이 용이하도록 1~2km마다 임시수준점을 설치합니다. 이 T.B.M은 공사가 완료될 때까지 유지하여야 하므로 견고하고 안전한 곳에 설치합니다.
3) 수준만(leveling net)=고저측량망=수준 환
폐합 수준측량에 의한 오차 점검을 위하여 수준점 간을 연결한 망입니다. 각 수준점 간은 반드시 왕복 측량하여 그 측정오차가 허용오차(예: 2km 왕복이 1등 수준점은 3mm)의 내가 되도록 합니다. 수준 점수가 많으면 오차가 누적되므로 수준점을 연결한 수준 노선의 길이가 적당하게 되면 원 출발점으로 돌아가든가 아니면 다른 수준점에 연결하여 망을 이룹니다.
2. 직접 고저측량의 원리
1) 후시(B.S.;Back Sight)
표고를 알고 있는 점(기지점)에 세운 표척의 읽음
2) 전시(F.S.;Fore Sight)
표고를 알고자 하는 점(미비점)에 세운 표척의 읽음
3) 기계고(I.H.;Instrument Height)
기준면으로부터 망원경의 시준선까지의 높이
4) 이 기점(T.P.;turning Point)
레벨을 옮기기 위해 한 점에서 전시 및 후시를 함께 취하는 점으로 전환점이라고 하며, 다음 지반고에 영향을 미치므로 1mm 단위까지 정확히 읽습니다.
5) 중간 점(I.P.;Intermadiate Point)
표척 세운 점만의 높이를 구하고자 전시만 취하는 점으로, 이 점의 오차는 다른 점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6) 지반고(G.H.;Ground Height): 측점의 표고
3. 시준 거리
1) 시준 거리: 레벨에서 표척까지의 거리
2) 시준 거리의 표준: 40~60m(최단 거리 3m, 최장 거리 100~180m이다.)
3) 동시 준거를 유지: 전시 및 후시의 거리를 같게 취함
ㄱ) 시준축 오차 소거(레벨의 조정이 불완전하여 시준선이 기포 관측과 평행하지 않을 때 표척의 눈금 값에 생긴 오차)
ㄴ) 지구의 곡률오차 및 빛의 굴절오차 소거
ㄷ) 초점 나사를 움직일 필요가 없으므로 조준 나사 작동에 의한 오차가 줄어들게 됩니다.
4. 야장 기재법
1) 고차식(two column system)
-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두 점 간의 고저 차만을 구하는 것이 주목적
- 일정한 경사지에서 사용되며 후시와 전시판만 있으면 됩니다.
- 2란 식이라고도 하며 점검이 용이하지 않습니다.
2) 승강식(instrumental height system)
- 완전한 전산으로 정밀 측량에 적합하나
- 중간 점이 많을 때는 계산이 복잡하며 시간이 많이 소요됨
3) 기고시가(rise and fall system)
- 후시보다 전시가 많을 때 편리
- 승강식보다 기재 사항이 적고 고차식보다 상세하므로 시간이 절약
- 중간 점이 많은 경우에 편리하나 완전한 검산이 불가능한 것이 결점
5. 간접 고저측량
중력측량(중력측정): Lacoste&Romberg 중력계
어느 지점의 중력값을 다른 점과 관계없이 그 절댓값을 구하는 절대 관측과 중력 기지점의 중력값을 기준으로 측점 상호 간의 절대중력값의 차이를 구하여 미지 점의 중력값을 구하는 상대 관측이 있습니다. 측정값이 높을수록 해발고도는 낮아집니다. 중력측정을 할 수 없는 지역으로는 동상지역, 다리 위, 옹벽 위 콘크리트 지역(성토지역) 등이 있습니다.
'측량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판측량(Plane Table Surveying) 정의, 특징 및 사용법 (1) | 2024.03.05 |
---|---|
GPS측량 정의 및 구성 (0) | 2024.03.04 |
고저측량의 정의 및 용도와 분류 (2) | 2024.03.04 |
우리나라의 측량원점과 기대효과 (1) | 2024.03.04 |
좌표계와 지구투영법의 이론 (1) | 2024.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