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선측량(Route Surveying) 정의와 순서 및 방법
1. 노선측량(Route Survey) 노선측량이란 도로·철도·운하 등의 교통로의 측량, 수력발전의 수로의 측량, 상하수도의 도수관 의 부설에 따른 측량 등, 어느 정도 폭이 좁고 길이가 긴 구역의 측량을 총칭합니다. 2. 노선측량의 순서 및 방법 (1) 노선선정 ① 도상선정 : 1/50,000 또는 1/25,000 지형도를 사용하며 가능노선을 여러 개 선정합니다. ② 종단면도 작성 : 위의 지형도로부터 종단면도 작성합니다.(종축척 : 1/2,000, 횡축척 : 대략적인 1/25,000) ③ 현지답사 : 현지답사에 의한 수정 및 개략노선 결정합니다. (2) 계획조사측량 ① 지형도 작성 : 계획선의 중심에서 폭 약 300m에 대해서 항공사진의 도화(1/5,000, 1/2,5000) ② 비교선의 선정 : 1..
2024. 3. 5.
지형측량(Topography Survey) 정의 및 표시방법
1. 지형측량 정의 지형측량(Topography Survey) 지형측량이란 지구 표면 및 지하 공간상의 자연 및 인공적인 지물 및 지모의 상호위치 관계를 수평적 또는 수직적으로 관측하여 그 결과는 도면(지형도:topographic map)을 작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측량을 말합니다. 지물: 지상에 있는 도로, 하천, 철도, 시가지, 촌락; 기호화한 지상 설치물(인공적) 지모: 산정, 구릉, 계곡, 평야, 경지 등 주로 토지의 기복: 등고선으로 표시(자연적) 종래의 지형 측량은 평판 측량, 시거 측량 등으로 이루어졌으나 20세기에 와서는 항공 사진 측량으로 대신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공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형 측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축척 지형도 제작에는 토털스테이션이나 GPS를 이용합니..
2024. 3.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