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3 고저측량의 분류 및 쓰임 1. 평균해수면(mean sea level;M.S.L)=정수면 수년간에 걸친 조위 관측값의 산술평균값으로써 결정한 해면의 높이로 정밀히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 평균해수면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1년 이상의 장기간에 걸쳐 각 해안에 위치하는 조위 관측지점의 평균해수면을 우선 결정하고 그것을 다시 전국에 걸쳐 평균값으로 조정 결정해야 합니다. 우리나라의 수준 기준면은 동서 해안의 대표적인 항만의 평균해수면을 평균하여 그것을 기준면으로 채택하였습니다. 즉, 1911년 8월부터 약 3년간에 걸쳐 청진, 원산, 목포, 인천, 진남포의 각 만에 조위 관측장(검조소)을 설치하고 자기검조위에 의하여 얻은 관측값으로써 평균해수면을 계산하고, 이 5개 지점의 평균해수면을 다시 평균하여 얻은 값을 우리나라의 수준 기준.. 2024. 3. 4. 고저측량의 정의 및 용도와 분류 1. 고저측량의 정의 고저측량은 지표면에 있는 제점의 표고 차를 측정하여 지점의 표고를 결정함으로써 일정한 높이를 확인하는 측량입니다. 평균해수면 등의 기준 수준면을 기준으로 한 절대표고나 임의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상호 점간의 고저차를 구하게 됩니다. 2. 고저측량의 용도 - 설계된 표고에 의한 건설공사의 배치 - 노선의 종,횡단면도 작성을 위한 수준측량(도로의 신설, 개수공사 등) - 같은 높이점을 결정(건축, 교량가설공사 등) - 일정한 경사선을 정한다(배관공사, 제방건설 등) - 기존 지형에 알맞은 도로, 철도 및 운하 등의 공사설계 - 토공량 산정 등의 공사시공에 필요한 자료 제공 - 지형도 작성시 등고선 측량 - 국가 수준점 측량 - 공사지역의 배수특성의 조사 3. 고저측량의 분류 고저측량은.. 2024. 3. 4. 우리나라의 측량원점과 기대효과 1. 대한민국 경위도원점 한 나라의 지도 제작을 위한 측지원점은 천문측량을 실시하여 천문학적인 경도, 위도, 방위각을 결정한 후 이를 측지학적 값으로 간주하고, 원점에서는 준거타원체와 지오이드가 일치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모든 삼각점의 측지학적 경도, 위도, 방위각을 결정하는 방법을 취합니다. 건설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구 국립지리원)은 1981년 8월부터 1985년 12월까지 정밀측지망 측량의 출발점이 될 우리나라 고유의 측지원점을 설정하기 위한 경위도 원점관측을 실시하였습니다. 경위도 원점관측은 국토지리정보원 구내에서 정밀 천문측량으로 원점을 측량하여 결정하였습니다. 그러나 대한민국 경위도 원점은 국토지리정보원에서 21세기를 대비한 새로운 국가기준점 체계의 확립을 도모하고 있는 것 등으로 현재 상징적인 .. 2024. 3. 4. 좌표계와 지구투영법의 이론 1. 평면 직교좌표계 평면 직교좌표계는 일반적인 측량 또는 측량 지역이 넓지 않은 경우에 이용하는 좌표계입니다. 타원체 상의 위치정보(경도, 위도)는 지도 투영을 통하여 평면좌표로 나타내며, 소규모 지역의 각종 측량계산과 이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 평면 직교좌표계의 좌표축은 측량 지역에 대해 적당한 한 점을 좌표의 원점으로 정하고 그 평면상에서 원점을 지나는 자오선을 Y축(N:북을 +), 동서 방향을 X축(E: 동을 +)으로 합니다. 각 지점의 위치는 방향과 거리를 이용한 직교좌표 값 x 표시합니다. 2. UTM 좌표계(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Coordinates;국제 횡 메르카토르투영법) 2차대전 말기 연합군의 군용 거리 방안으로 고안된 것으로, 적도를 횡축으로 하.. 2024. 3. 4.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