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리정보체계의 구성
(1) 하드웨어
지리정보체계를 구동시키는 장치로서 컴퓨터 본체, 모니터, 프린터, 스캐너 등 입력장치, 출력장치, 연산장치, 저장장치 및 각종 주변 장치를 포함합니다.
(2) 소프트웨어
지리정보체계의 두뇌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지리정보체계를 구동시키는 프로그램부분입니다. 여기에는 각종 워드프로세서, 통계프로그램도 포함됩니다.
(3) 자료
지리정보체계의 주된 작업은 자료의 입력에 관련된 일입니다. 보다 정확한 최신의 자료가 350 Survey Information Engineering 다양하게 입력되어야만 이 자료를 활용하여 효율성 있는 지리정보체계의 응용체계를 구축 할 수 있습니다.
(4) 인적 자원
지리정보체계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지식을 갖춘 인력이 있어야만 합니다. 인적자원이라 함은 GIS의 모든 요소들을 운영하는 것으로서 데이터를 구축하고, 분석하여 실제 업무에 활용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축한 후 관리하는 GIS전문가 뿐만 아니라, 일상 업무에 GIS를 활용하는 사용자들 모두를 포함합니다.
2. 지리정보체계의 자료처리
지리정보체계의 구성 단위는 자료 처리, 자료 분석, 정보 사용, 관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자료처리는 자료취득, 자료입력, 자료저장으로 나누고, 자료 분석에서는 검색과 분석으로 이루어지며, 정보의 사용자는 조사자, 계획자 및 관리자 등이 있습니다. 또한, 지리정보체계의 운영자와 사용자 사이에는 분석 절차나 자료 구조를 계획하기 위해 상호 작용이 필요합니다.
2.1 자료의 기본형태
지형정보는 점, 선, 면의 세 가지 위상적 개념으로 단순화될 수 있으며, 모든 실세계는 원칙적으로 점, 선, 면과 이를 설명하는 특성으로 표현됩니다. 예를 들면, 맨홀 뚜껑이나 유정은 지도상에서 점으로 나타내며, 위치좌표 ( x, y)와 그 특성을 가지며, 철도와 같은 선형은 시점과 종점의 위치좌표 및 그 특성, 지적이나 범람원과 같은 일정지역의 면에 대한 것은 다수의 위치좌표와 어느 지역이라는 특성을 부여하게 됩니다. 특성은 이와 같이 실제 이름이 사용되어지기도 하지만 범례와 연결될 수 있는 참고 번호나 부호로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3. 지리정보체계 구축현황
3.1 지방자치단체의 GIS
정부에서는 범정부적인 GIS 구축 계획을 수립(94.5)하고 이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한 한시적인 GIS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였고, 세부활동을 위한 5개의 분과를 설치하였습니다. 한시적인 추진위원회는 한국전산원의 기술적인 지원을 받아 구체적인 계획안을 수립하고 국가 전체적인 GIS를 통합하고 구축합니다. 현재 각 부서별로는 나름대로의 GIS를 구축중인데 이것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표준화, 통합화를 통한 효율의 극대화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GIS는 공간정보를 다루는 정보시스템이기 때문에 그 활용범위가 매우 다양하며, 그에 따라 GIS에 관련된 기관도 국내의 거의 모든 기관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GIS의 최종사용자 라고 할 수 있는 수요기관은 지방자치단체, 정부부처, 정부투자기관, 군, 경찰, 민간기업 등을 총망라합니다.
3.2 NGIS(국가 지리정보체계 구축 사업)
(1) 사업의 목적, 범위 및 담당부서
1994년부터 추진된 국가 GIS구축사업(National GIS: NGIS)의 주요목표는 GIS가 국가경 쟁력 강화 및 행정생산성 제고 등에 기반이 되는 중요한 사회간접자본이라는 전제하에 GIS를 위한 국가표준의 설정과 공간자료 기반의 구축 및 관련 기술력 향상을 통한 GIS활 용기반의 성숙에 있습니다. 구체적인 NGIS의 추진 목표로는 주요 주제도와 도심지 주요시설 물을 수치지도화하여 공간자료기반을 구축하는 것과 국가표준을 설정하고 나아가 세계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GIS기반기술의 개발과 전문인력의 양성을 포함합니다. 또한 지형도, 주제도, 지하시설물도 등을 포함하는 공간자료기반의 표준안을 확립하고, 토지정보체계를 실현하기 위한 시범사업을 통한 문제점의 도출과 지적 재조사 사업의 단계적 추진을 포함합니다.
21세기 고도정보화사회에 대비하여 GIS개발을 촉진하고 GIS관련사업을 경쟁력있는 사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1995년 5월 19일 정부가 "국가지리정보체계 구축 기본계획을 확정 해 발표함으로써 국가차원의 GIS추진체계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NGIS의 전반적인 추진은 초기에는 재정경제원에서 주관하였으나 1995년부터 건설교통부로 총괄책임이 이관되었으며, 주요 참여기관은 건설교통부, 정보통신부, 과학기술부, 행정자치부 등 11개 정부 부처입니다.
(2) 총괄분과사업
건설교통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총괄분과의 사업은 모두 네 가지로 지하시설물관리체계 NGIS구축사업 지원연구를 들 수 있습니다. 공공목적의 GIS활용체계 개발사업은 현재 추진 중 개발 시범사업, 지하시설물 전산화 추진기반 조성, 공공목적의 GIS활용체계 개발사업인 공간정보 자료기반 구축사업을 기초로 GIS활용체계 개발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것입니다. 주요 추진실적으로는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 정부투자기관의 GIS활용 실태조사, 활용체계 구축계획수립을 위한 연구수행 등을 들 수 있습니다.
국가 GIS구축사업 지원연구는 NGIS사업이 국내에서 처음 시도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기술측면과 정보의 축적과 관리, 활용도 측면에서 추진되었습니다. 주요 사업추진현황은 공간정보 유통기구 설치를 위한 방안 연구 등 다수의 지원연구과제의 수행과 공통주제도 수치화 실험연구를 포함한 시범연구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또한 NGIS 2단계 추진을 위한 기본구상 연구와 공간자료기반 구축을 위한 실험연구를 포함하여 7가지 분야의 주요 연구사업이 추진 되었습니다.
(3) 지형정보분과사업
국토지리정보원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지형정보분과사업은 지형도 수치화 사업, 공통주제도 수치지도화 사업, 지하시설물도 수치지도화 사업이 주요 내용입니다. 지형도 사업 은 1:1,000, 1:5,000, 1:25,000의 세가지 추적의 수치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1:1,000사업 은 전국 78개 시가지를 대상으로 하며, 1:5,000사업은 일부 산악지와 해안지역을 제외한 전국을 대상으로 1:25,000사업은 주로 산악지역을 대상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또한 지형공간 정보분과에서는 수치지도의 관리 및 개선을 위한 연구용역 사업으로 국토지리정보원 주관 하에 영국의 지리원으로부터 수치지도의 개선·발전방안을 위한 연구용역을 실시하였습니다. 또한 수치지도의 원활한 관리 및 공급을 위하여 현행 측량법상에 수치지도의 소유권 및 판 권을 정립시키고 안전한 보안관리 및 공급에 관한 절차 등을 상세히 명시할 관계규정 정립 을 위한 작업을 추진하였습니다.
(4) 과학기술분과사업 과학기술처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과학기술분과의 사업은 GIS관련 기술개발사업과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교육사업의 두 가지를 들 수 있습니다. 기술개발사업은 체계통합, 기본 소프트웨어 개발, 도면화 기술개발, DBMS(자료기반 관리체계) 기술개발의 네 가지 중 과제로 나누어 추진되었습니다. 인력양성사업은 국가의 지원을 바탕으로 1995년부터 과학기술부 산하 체계공학연구소가 주관이 되어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GIS교육센터를 설립하여 운영하였습니다. 이후 1997년부터 정보통신부 산하 정보문화센터로 이관되어 정책결정자 과정, 관리 자 과정, 업무체계 이용자 과정 등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5) 토지정보분과사업
행정자치부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토지정보분과 사업은 지적도 전산화 시범사업과 지적재조사 사업 등 두 가지입니다. 지적도 전산화 사업은 대전광역시 유성구의 67,000필지 를 대상으로 필지중심의 대장과 도면을 통합한 통합체계와 자료기반을 구축하였습니다. 자료기반을 활용한 토지이동정리와 지적도 열람·등본 등의 민원처리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일필지중심의 토지정보체계(PBLIS, Parcel Based Land Information Sys-tem)의 표준안을 작성하였습니다. 또한 지적도를 기본도로 하는 상·하수도 등의 시설물관리를 위한 체계의 모형개발을 완료하였습니다. 지적재조사사업은 준비단계를 거쳐 지적재조사법의 재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6) 표준화분과사업
정보통신부 주관으로 하는 표준화사업은 지형지물의 부호체계와 관련된 표준화와 자료 모형화(modeling)의 표준화, 기초자료 조사연구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의 추진 실적은 버전 1.0의 지형지물 및 속성부호 관련 분류방법과 부호체계를 정의하였으며, 7개 주요 지하시설물에 관한 시설물도 관련 분류코드 및 부호정의를 마련하였습니다. 또한 토지이용도와 도시계획도 등 공통주제도에 관한 분류코드 및 부호를 정의하였습니다. 자료의 모형화에 관한 표준화와 관련하여 공통자료 교환포맷표준을 규정하였으며, 1:1,000, 1:5,000, 1:25,000 축척별 자료표현내용 및 표현방법을 정의하였습니다. 또한 기초자료 조사연 구로서 국외 GIS기술동향 및 표준화 관련 조사연구서를 발간하였습니다. 향후 주요사업 내용 은 주제도 관련 표준화작업으로서 대상 주제도별 표준초안의 개발 및 주제도별 사물에 대 한 분류항목 및 코드체계의 표준화, 1996년에 마련된 국가기본도 표준과 지하시설물도 표준안의 보완 등을 들 수 있습다.
'측량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근 콘크리트 종류 및 쓰임 (1) | 2024.03.05 |
---|---|
철근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 RC)의 정의 및 장점, 단점 (0) | 2024.03.05 |
지리정보체계(GIS)의 정의와 역사 및 필요성 (0) | 2024.03.05 |
해양측량(Sea Surveying) 정의와 종류 (2) | 2024.03.05 |
수위관측의 정의 및 종류 (1) | 2024.03.05 |